물절약 실천

가뭄, 물절약에 동참하세요!

◼ 그림의 우측면을 클릭하면 다음화면으로 이동합니다.

가뭄 단계별 물절약 실천계획

가뭄시 농민행동요령

1-1  논가뭄시 농민 행동요령

1-2  논가뭄시 단계별 농민 행동요령

1-3  벼 농사 관리 및 물절약 캘린더

1-4  논 물 가두기로 물절약해요

1-5  집단 못자리를 실천합니다

1-6  중간 취수를 자제합니다

1-7  물꼬관리로 물절약 실천해요

1-8  간단관개는 어떻게 하나요?

1-9  윤환관개는 어떻게 하나요?

2-1  밭가뭄시 농민 행동요령

2-2  밭가뭄시 단계별 농민 행동요령

2-3  밭작물 농민 행동요령

3  과수 가뭄 대책 행동 요령

3-1  토양관리

  • 개원할 때 토성 점질화를 위하여 질흙을 객토하고 매년 충분한 유기질 거름을 시용하여 보수력을 높입시다.
  • 마른 땅에는 적절한 심경으로 과수나무 뿌리가 땅속 깊이 분포되도록 합시다.
  • 가뭄이 계속되면 수관 밑에 부초를 하여 토양수분의 과도한 증발을 억제합시다.
3-2  수분증발 소모방지

  • 유목은 뿌리가 분포된 지면을 두껍게 복토합시다.
  • 잡초제거 후 얕이갈이 및 불필요한 도장지는 제거합시다.
  • 나무뿌리가 분포된 부분의 지면에 퇴비, 짚, 풀, 비닐 등을 깔아줍시다.
  • 과일간 양수분 소모, 흡수 경쟁방지, 불량과 수시 적과를 위해 조기 꽃봉오리 및 열매솎기를 해줍시다.
3-3  물주기

  • 수원을 개발하여 최대한 물을 줍시다.
  • 물주기는 7~15일간 30㎜정도 강우가 없을 때 시작하고 일정 간격으로 계속 줍시다.
  • 점적관수 대용으로 비닐공대에 물을 담고 나뭇가지 등에 고정시켜 바늘구멍을 내어 비닐공대를 이용한 관수를 합시다.
  • 물 소비량과 노력이 적게 드는 토양수분센서를 이용한 자동관수를 확대합시다.
  • 관수시설이 없을 경우 잡초제거, 부직포 등을 이용한 토양 피복을 추진합시다.
3-4  시비

  • 양분흡수가 안되어 생육이 불량한 경우 요소 0.3%액을 잎에 뿌려 줍시다.
  • 포도원이나 사과 유목원에서는 붕소 0.2%액을 잎에 뿌려 줍시다.

주요 작물별 물절약 가이드

1  밭작물 주요 물절약 실천요령

2  주요 작물별 물절약 가이드

작물별 가뭄대응 매뉴얼

  콩, 고구마, 참깨, 땅콩

  파종전

  • 토양수분 적습 포장(60%이상)시 적기내 파종
  • 토양수분 건조 포장(40%미만)시 강우후 파종
  • 만파시 적기 파종시보다 20~30% 증량 파종
  • 피복 재배(비닐 등)를 통한 수분증발 억제
  • 파종한계기 이후 무강우시 대파작물 파종
  파종후

  • 물대기 가능지역은 헛골에 물대기 실시
  • 관수 불가지역은 산야초 및 비닐 피복으로 수분증발 억제
  • 김매기 겸한 표토천경 및 배토로 수분흡수 경합 완화
  • 빈 포기 보식용 예비모판 설치

  마늘, 양파

  관수가능

  • 구 비대기에 10일 간격으로 관수
  관수불가

  • 물대기 얕게 갈기
  • 이랑에 절단 볏짚, 퇴비 왕겨 등 유기물로 덮어줌
  가뭄지역

  • 비닐 피복 재배
  • 가뭄시 스프링클러 가동하여 물 뿌리기 실시
  • 추비는 물비료로 시용

  고추

  육묘중

  • 관수 가능한 포장에 육묘상 설치
  • 아주심기 늦어질 경우, 폿트 간격 넓히고 물주기 제한
  • 생육 불량 묘는 요소 0.2%액 5~7일 간격 엽면시비 관리
  정식포장

  • 정식전 점적관수 시설 설치하여 관수
  • 관수 가능 포장은 5~7일 간격으로 관수
  • 비닐피복 재배로 토양수분 증발방지
  • 경사지는 분무기 노즐 빼고 호스로 고추 포기 관수
  • 관수 불가능 포장 경우 스프링클러 시설 설치를 통한 관수
  • 가뭄시 석회 결핍증 방지 위해 염화칼슘 0.3% 옆면 살포

  무, 배추

  육묘중

  • 하우스내 또는 과수 가능 포장에 육묘상 설치
  • 관수 가능 포장은 5~7일 간격으로 오전 중 관수
  • 아주심기 늦어질 경우, 폿트 간격 넓히고 물주기 제한
  • 생육 불량 묘는 요소 0.2%액 5~7일 간격 엽면시비 관리
  정식포장

  • 비닐피복 재배로 토양수분 증발방지
  • 정식시 정식 구덩이 관수후 정식
  • 무 줄뿌림시 평이랑으로 파종하되 파종량 늘려 파종
  • 웃거름은 물비료로 시용
  • 관수 불가능 포장 경우 스프링클러 시설 설치를 통한 관수
  • 김매기 겸하여 겉흙 긁어주고 고랑 피복으로 수분증발 억제
  • 건조시 무게 감소 및 석회 결핍 발생

  수박, 참외

  육묘중

  • 관수 가능한 포장에 육묘상 설치
  • 아주심기 늦어질 경우, 폿트 간격 넓히고 물주기 제한
  • 생육 불량 묘는 요소 0.2%액 5~7일 간격 엽면시비 관리
  정식포장

  • 정식후 충분한 물 공급 및 일시적으로 햇빛 차단
  • 점적관수 시설을 통한 물 공급
  • 관수 불가능 포장 경우 스프링클러 시설 설치를 통한 관수
  • 비닐, 짚, 풀 등을 덮어 수분증발 억제
  • 생육 불량 밭은 요소 0.2%액 4~5일 간격 2~3일 잎에 뿌림
  • 볏짚이나 풀 등으로 열매를 덮어줌

  고랭지 무, 배추

  육묘중

  • 배추는 물주기 가능한 포장에 묘상 설치
  • 아주심기 늦어질 경우, 폿트 간격 넓히고 물주기 제한
  • 생육 불량 묘는 요소 0.2%액 2~3회 잎 뿌려 모 노화 방지
  • 무는 평이랑 파종하되 파종량 늘려 파종
  • 강우 후 일시 파종 억제하고 분산 파종
  본포관리

  • 비닐 저수장 설치하여 가뭄 대비
  • 아주심기시, 관수 이후 비닐, 짚, 풀 등을 덮어 줌
  • 김매기 겸하여 겉흙 얕게 긁어주고 풀,짚 덮어 수분증발억제
  • 고랑피복, 망사재배로 토양수분 증발 억제
  • 5~7일 간격으로 물주기 하되, 경사지는 분무기 노즐 빼고 물주기
  • 김매기 겸하여 겉흙 긁어주고 고랑 피복으로 수분증발 억제
  • 관수 불가능 포장 경우 스프링클러 시설 설치를 통한 관수

가을  마늘

  가뭄관리

  • 가뭄 우려지역은 비닐피복 재배 및 스프링클러 설치
  • 파종 후 건조시 발근 늦어져 겨울에 고사 피해 우려
  단기가뭄

  • 살충제 및 살균제 사용을 통한 종자소독 실시
  • 파종후 건조시 발근 늦어져 겨울에 고사 피해 우려
  • 난지형은 파종후 스프링클러 설치로 주기적 관수
  • 한지형은 파종 후 12월 초 비온 후 비닐 피복 실시
  중기가뭄

  • 난지형, 한지형은 파종후 스프링클러 설치하여 주기적 관수
  • 한지형은 파종 후 12월 초 비온 후 비닐 피복 실시

가을  시설작물

  가뭄관리

  • 딸기, 토마토 등 시설작물 경우, 관수 및 차광 등 관리가 유리하여 가뭄 영향 적음

가을  무, 배추

  단기가뭄

  • 고랑관수 금지
  • 스프링클러관수 및 점적관수 실시
  • 비닐피복으로 토양유효 수분 지속 관리
  중기가뭄

  • 각종 질병 발생에 따른 상품가치 하락으로 신속한 대파 준비 (시금치)

가을  토마토

  단기가뭄

  • 정식후 6~7화방 개화 중, 10~11월 정식 예정
  중기가뭄

  • 관정 이용한 지하수 관수 시설을 통한 용수 공급 모색

밭작물 작물계수

1  보리

2  밀

3  콩

4  옥수수

5  땅콩

6  고구마

7  감자

8  상추

9  고추

10  토마토

11  수박

12  배추

밭작물 필요수량

본 웹페이지는 Google Chrome, Microsoft IE 10이상, Microsoft Edge를 지원하며, Android 5.0(롤리팝)이상의 태블릿과 스마트폰을 지원합니다. HTML5를 완전하게 지원하는 Google Chrome이외의 브라우저에서는 글씨가 매끄럽게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.